지역 사회가 키운 건축

  • Date2022.11.25

오사카는 건축을 공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안도 타오의 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 비록 그가 일본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자신의 독창적 건축언어를 구현하고 있지만, 그 스스로가 ‘오사카가 키운 건축가’이며 ‘오사카의 기질이 아니었으면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다. 이는 단순히 안도 타다오가 오사카에서 태어나, 자신의 아틀리에를 설립한 이래 40년이 넘도록 오사카에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엘리트 출신의 건축가들과 달리 학연도 전무하고, 경험도 일천한 젊은 건축가 안도 타다오에게서 가능성을 읽고 후원자 겸 건축주가 되어준 산토리, 아사히, 산요, 교세라 같은 오사카 지방의 기업인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안도 타다오도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인 수도 도쿄가 아닌 오사카와 고베를 중심으로 하는 간사이 지역은 스타 건축가 안도 타다오의 정수를 직접 대면할 수 있는 특별한 장소가 되었다.

그의 초기 대표작인 ‘빛의 교회’는 오사카 외곽의 평범한 주택가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안도 타다오 건축 순례객들의 원점과 같은 곳으로 홀로 혹은 단체로 답사하는 수많은 인파를 늘 만나게 된다. ‘빛의 교회’는 그의 건축이 발현하는 노출 콘크리트의 시적인 표현이 가장 잘 드러나면서, 대중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이기 때문이다. 안도 타다오 건축 언어에서 노출콘크리트로 축조된 ‘벽’은 그 핵심을 이룬다. ‘빛의 교회’도 노출 콘크리트의 극도로 단순화된 박스 건물에 벽 하나를 비스듬하게 관통시킨 것이 전부일 정도로 절제된 디자인을 보여준다. 오사카 인근의 섬인 아와지시마의 ‘물의 절’ 역시 단순하게 놓인 2개의 노출콘크리트 벽이 공간의 경험을 지배하는 요소로 사용되었다. 아와지시마의 한적한 시골길을 걸다 보면 긴 노출 콘크리트 벽을 배경으로 하얀 모래로 가득 찬 ‘물의 절’의 앞뜰이 나타난다. 직선과 곡선의 노출 콘크리트 벽이 마주한 공간에는 하얀 모래와 간사이 지역의 푸른 하늘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없다. 이 공백은 ‘물의 절’의 경험의 절정을 이루며 안도 타다오 건축의 또 다른 정점을 보여준다.

안도 타다오 건축과 간사이 지역을 이해하는 데에서 빠트릴 수 없는 것이 한신 대지진이다. 1995년에 발생해 간사이 지역의 여러 도시를 무참하게 쓰러뜨린 한신 대지진을 경험한 안도 타다오는 이를 계기로 자연과 건축의 공생이라는 테마에 정성을 들이기 시작핶다. 지진의 진원지였던 아와지시마의 ‘유메부타이(夢舞台)’ 설계는 지진 부흥 계획의 일환이었다. 유메부타이의 대지는 오사카 만 지구 개발을 위한 토사 체굴장으로 사용했던 곳으로 이 1km에 이르는 대지는 대지진을 겪으면서 아와지시마의 풍부한 자연을 모두 잃고 황폐한 모습을 드러냈다. 안도 타다오는 이 땅에 건물을 세우기 이전에 상처 입은 자연을 되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 수십만 그루의 묘목을 심는 작업부터 시작했다. 그 후에야 비로소 자연환경과 일체화된 건물을 디자인했다.

안도 타다오의 건축을 시각적으로 지배하는 차가운 노출콘크리트는 그가 만든 공간이 ‘자연’, ‘전통’ 같은 개념과는 거리가 있다는 선입관을 심어주기 쉽다. 하지만 ‘벽’, ‘자연’ 이라는 열쇠를 품에 안고 그의 사상이 오롯이 담겨있는 간사이 지역의 건축을 경험하고 나면 안도 타다오 건축의 감춰진 정수를 만날 수 있다. 현대 일본 건축의 가장 세계적인 명성이 드높은 건축가인 안도 타다오를 성장시킨 것은 자본이 가장 응축된 수도권지역이 아닌 간사이 지역의 프로젝트였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건축은 본래적으로 지역의 토양에 깊은 토대를 두는 작업이다. 안도 타다오 특유의 노출 콘트리트의 미학은 간사이 지역의 문화적, 경제적 기반아래 지역의 적극적인 후원 하에 달성된 것이다. 세계 최고의 건축가 반열에 오른 현재에도 안도 타다오는 간사이 지역을 건축 작업의 원점으로 여기고, 아무리 작은 프로젝트라도 본인을 키워준 지역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이라며 마다하지 않고 작업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현대 문화의 가장 보편적인 자리에 오를 수 있다는 점이 건축에 있어서 지역 사회와의 교류와 영향이 얼마나 중요한지 방증하고 있다.